건강

쌀쌀한 초겨울, 조심해야할 질병은 무엇이 있을까?

Life_fit_zrlkkk 2023. 10. 21. 12: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체육과 건강지식에 대하여 업로드하는 Fit_Zrlkkk 입니다.

요즘 점점 영하권으로 내려가고 바람과 일교차가 커지는 초 겨울 날씨가 점점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초겨울, 겨울철 위험한 질병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기온이 떨어지면 우리 몸의 근육 및 혈관신경 등은 위축되고 경직되며, 활동량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줄게 되어 면역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질병의 악화증세뿐만 아닌 평소 우리가 몰랐던 질병도 나타날 수가 있게 됩니다. 그래서 겨울철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

 

당뇨병은 흔히 우리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질병이며 흔하게 보이는 질병입니다. 하지만 당뇨는 5대 사망 원인 중 하나라고 꼽힐 정도의 매우 심각한 성인병입니다. 요즘은 어른들에게만 나타나는 질병이 아닌 아이들과 다양한 연령대에서 나타나게 됨으로 매우 심각한 질병이라고 합니다. 특히 이 당뇨병은 날씨가 요즘처럼 추워지는 겨울을 조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신체활동의 감소와 더불어 면역력의 감소는 위험성과 더 심하면 사망률까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당뇨병이 무서운 이유는 합병증 때문입니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족부괴사,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뇌혈관 장애, 등 다양한 질병이 당뇨로 인해 생기기 때문입니다. 당뇨는 완치의 개념이 아닌 평생관리라는 생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 습관 먼저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식이요법과 운동을 신경 쓰게 하고 특히 체중관리에 열심히 해야 합니다. 당뇨 환자들은 체중 1kg 증가 당 당뇨병의 위험이 거의 8-9% 정도 증가한다고 하니 특히 식이요법과 병행된 운동으로 신체건강에 유의해야 합니다.

 

 

고혈압

 

고혈압은 특히 겨울철 위험한 질병 중 하나라고 뽑힐 만큼 위험한 병입니다. 고혈압의 환자들은 추운 환경 즉, 겨울과 같은 환경에 노출되게 된다면 혈관벽의 수축으로 인한 혈압이 치솟기에 고혈압 질환 환자들에게는 굉장히 무서운 병입니다.

건강한 사람들도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부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1도 내려갈 때마다 혈압이 0.2 ~ 0.3 mmHG 올라가게 되는데 고혈압 질환 환자들은 이것에 비하여 더욱 급상승하게 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고혈압은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등 다양한 고혈압 합병증으로 인하여 2차 피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위험률은 추워지기 시작하는 10월부터 3월까지 많이 나타나게 되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평소 고혈압을 앓고 있는 분 또는 질환이 의심되는 분들은 혈압을 자주 측정하여 자신의 혈압을 수시로 체크하고 기온이 최대치로 높아지는 낮 정도의 시간대에 활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상

 

동상은 겨울철 흔히  발생하게 되는 질병입니다. 동상은 피부 온도가 영하 2 ~ 10도 사이의 극한 저온까지 내려가 피부조직 안 혈액들이 잘 순환하지 않아 얼게 되는 상태를 의미하게 됩니다. 거의 피부온도가 10도 정도가 된다면 정상적인 혈류의 흐름은 사라지게 되며 피부온도가 0도까지 떨어지게 된다면 혈관 속 얼음 결정들이 형성되어 손이 굳어버리게 됩니다.

 

동상이 발병하게 된다면 피가 통하지 않게 되므로 피부가 검게 변하고 부어오르게 됩니다. 치료를 하지 않은 채 방치하게 된다면 혈관 및 근육 등 2차 피해가 될 수 있으니 수면 양말 및 장갑 등 방한 대책을 특히 강구해야 합니다.

 

골절

 

겨울 철 골절이 위험한 이유는 빙판길이나 눈 또는 습기가 얼어 생기는 블랙 아이스 현상 때문입니다.

또한 겨울철은 여름에 비하여 일조량이 적어 체내 비타민 D 같은 필요 비타민이 줄게 되면서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으로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골밀도를 높이는 칼슘, 칼륨 제품을 많이 섭취하고 근력운동을 통하여 뼈를 튼튼하게 하여 골밀도와 근육량을 늘려 관절골절에 예방을 해야 합니다.

 

 

저온 화상

 

더운 여름에는 에어컨을 많이 쐬어서 여름감기에 걸리는 분들이 많으시죠? 겨울은 반대로 따듯한 제품을 장시간 사용하거나 머물다 보면 저온 화상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난방기구의 부주의 혹은 핫팩, 전기장판 등 상대적으로 뜨겁지 않은 열에 장시간 노출되어서 피부손상이 생기게 되는 현상을 말하게 됩니다. 핫팩의 경우 최대 60 ~ 80도까지의 열을 발생하게 되는데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우면 저온 화상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저온화상이 걸리게 되면 화상 연고제를 이용하거나 심한 경우 내원을 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추천

 

2023.08.24 - [건강] - 생각보다 무서운 병, 당뇨병 (증상, 자가진단법, 예방법 총 정리)

 

생각보다 무서운 병, 당뇨병 (증상, 자가진단법, 예방법 총 정리)

안녕하세요 체육과 건강지식에 대하여 업로드하는 Fit_Zrlkkk 입니다. 요즘 비도 많이 오다가 날씨가 덥다가 아주 짜증나는 날씨입니다 ㅜㅜ 이런 오락가락한 날 처럼 오락가락 하는 내 혈당 "당뇨

ljk1006.tistory.com

2023.09.03 - [건강] - 관절에서 뚝뚝... 관절염 (증상, 원인, 치료방법, 위험군?)

 

관절에서 뚝뚝...관절염 (증상, 원인, 치료방법, 위험군?)

안녕하세요 체육과 건강지식에 대하여 업로드하는 Fit_Zrlkkk 입니다. 오늘은 관절염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려합니다. 관절염이란?관절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의미한다.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파

ljk1006.tistory.com

2023.09.13 - [건강] - 성인병의 대표질병 고지혈증 (원인, 콜레스테롤, 증상, 기준, 예방, 치료법)

 

성인병의 대표질병 고지혈증 (원인, 콜레스테롤, 증상, 기준, 예방, 치료법)

안녕하세요 체육과 건강지식에 대하여 업로드하는 Fit_Zrlkkk 입니다. 오늘은 성인병의 대표적인 질병이죠, "고지혈증"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려합니다. 고지혈증이란?고지혈증은 혈중 지방이 필

ljk1006.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