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학생 건강체력 평가제도 "팝스(PAPS)" (종목과 기준표 총 정리)

Life_fit_zrlkkk 2023. 8. 30. 12: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체육과 건강지식에 대하여 업로드하는 Fit_Zrlkkk 입니다.
 
오늘은 학생건강 체력 평가제도 (PAPS)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볼라고 합니다.
 
모두들 초,중, 고등학교 시절 체육선생님의 삐 삐 소리에 맞춰 운동장을 뛰기도 하며 체력훈련을 받아본 기억
하나 정도는 가지고 있을거라 생각을 합니다.
 
제가 말하고자하는 PAPS (학생건강 체력 평가제도)는 2009년 초등학교에서부터 적용되어 그 다음해 2010년에는 
중학교에서 2012년에는 고등학교까지 확대되어서 현재까지도 진행되어지고 있는 체력평가제도입니다.
 
생각보다 꽤 오래되지는 않았지요?
그렇기에 2011년 이전에 학교를 졸업하신분들의 경우 이 제도에 대하여 더욱 생소하다고 느끼실 것 같습니다.
 

  • PAPS (학생건강 체력 평가제도)란?

PAP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의 약자로 기존의 초,중,고등학교 기초체력을 평가하는 체력장 제도를 전면
개편하여 식단 서구화 및 운동부족으로 인한 학생의 급격한 증가로 비만 및 체력저하 방지 및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개발되어진 학생건강 체력관리 프로그램이며 학교 체육시간을 이용하여 "팝스"라고 하여 왕복 오래달리기, 50M 달리기,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 등 활동을 측정한다.
 
최근 주변 많은 학생들이 심각한 비만과 운동부족 현상을 나타내고는 있다.
불과 몇년전만 하더라도 놀이터에서 뛰어노는 학생들이 많았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에 발전과 다양한 
재미요소의 등장으로 밖으로 나가 뛰어노는 행위 자체는 요즘 아이들에게는 그저 시시해 보일뿐이다.
자극적인 매체와 재미난 디지털 프로그램 등 어린 아이들을 휘어잡기 좋은 것들이
너무 다양하고 많이 개발되었다고 생각이 든다.
 
이런 점에서 "팝스(PAPS)"는 굉장히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력저하, 비만학생들에게 맞춤식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다양한 체력관리 교실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 팝스(PAPS)의 목표

팝스는 운동능력뿐 아닌 건강체력 확인 및 개인이 확인하여 운동을 권하거나 식단표 제공 운동 프로그램 제공 등 
부가요소적인 도움이 들어가지만 예전 체력장은 운동활동 능력 확인을 위한 수단으로 진행되어왔습니다.
 

  • 팝스(PAPS) 측정종목

팝스에서는 5개의 체력요인(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에 따라 
12가지의 팝스 종목 중 총 5개의 팝스 종목을 선택하여 실시하게 됩니다. 
 

  • 심폐지구력

장시간 지치지 않고 운동에너지를 소모하며 할 수 있는 능력
 

  • 왕복 오래달리기

초등부 (15M) 중고등부 (20M)를 왕복하여 달리게 됩니다.
 
삑 휘슬소리에 맞춰 출발선에서 출발하여 도착지점에 도착하고 삑 소리에 맞춰 다음 
돌아왔던 지점으로 복귀해야 합니다. 이렇게 계속 진행이 되면 삑 소리에 맞춰 들어오지 못하였을때
1회 이동시간 - 9초 이내에 복귀해야하며 이후 단계에서부터는 시간이 점차 줄어듭니다.
그 전까지 횟수가 자신의 기록으로 측정이 됩니다.
 

  • 스텝 검사

심박수 측정기의 센서부분이 가슴 바로 아래 부위 피부에 밀착되도록 착용하고 손목에 수신기를 
착용합니다.  수신기에 심박수가 표시되면 측정을 시작하게 됩니다. 
실시자는 스텝박스를 한 발씩 오르고 내리는 동작을 소리에 맞추어 실시하게 됩니다.
3분 동안 계속하여 반복하게 됩니다. 
 
초등학교 및 중학생 남,여와 고등학교 여학생은 분당 24회를 진행하며 
고등학교 남학생들은 분당 30회를 실시하게 됩니다. 
 
3분간의 스텝운동을 맞추면 의자에 앉아 3분간 휴식을 취하게 됩니다. 
 

  • 유연성

관절과 절을 둘러싼 근육이 최대한의 범위까지의 가동범위가 나오는지를 나타내는 능력
 

  •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양 발을 붙여 앞으로 곧게 뻗은 후 상체가 얼마나 구부려지는지를 측정하는 검사
이때 양 무릎이 굽혀지면 안된다.
 

  • 종합 유연성 검사

어깨, 몸통, 옆구리, 하체 4가지 진행하게 된다.
어깨 유연성은 양 손이 등 뒤에서 위-아래 방향으로 닿을 수 있는지
몸통 유연성은 상체를 좌우로 회전시켜 숫자카드를 읽은 수 있는지
옆구리 유연성은 바르게 선 자세에서 척추가 좌우로 충분히 골곡 또는 신전이 되는지
하체 유연성은 앉은 자세에서 좌우로 한발씩 곧게 뻗고 양손이 발끝에 닿을 수 있는지
를 검사하며 측정하는 방식이다.
 

  • 근력&근지구력

근력은 한번에 낼 수 있는 최대의 힘이며 근지구력은 근력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이다.
 

  • 팔굽혀펴기

높이 30CM의 팔굽혀펴기 봉을 어깨넓이로 잡은 후 실시하며 머리부터 발 끝까지 직선이 되어야하며
머리부터 발 끝까지 직선이 되어야하며 팔을 굽힐시 가슴과 봉의 거리는 10cm를 초과하면 안된다.
 

  • 윗몸말아오르기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90도에서 140도 정도 굽혀 세우며 발 사이에는 주먹 하나 크기로 벌려줍니다.
양 손을 앞쪽 허벅지 위로 올린 상태로 3초마다 울리는 신호음에 맞춰 상체를 말아 올려줘야합니다.
 

  • 순발력

순간적으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 50m 달리기

직선도로를 50m를 주파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 제자리 멀리뛰기

구름판 위에 설치된 장비에 출발선을 밟지 않은 채 대기를 한다. 
점프를 하며 멀리 뛰기 거리를 측정하게 됩니다.
점프시 무조건 두발로 뛰어야하는 규칙이 있으며 2회 실시하면 됩니다.
 

  • 팝스 기준표 (남자)

 

  • 팝스 기준표 (여자)
출처 :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https://www.schoolhealth.kr/web/bbs/selectBBSList.do?bbsTyCode=BBST01&bbsId=0401&lstnum1=2677&pageIndex=1&pageUnit=10&dataType=&searchCnd=&searchWrd=

 
 
위 기준표를 참고하셔서 나이, 성별에 따른 기준을 확인하시고 나의 현 상황은 어떠한가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뇌의 지식을 넣어두고 쓰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몸의 건강이 나이가 들어갈 수록 중요한거구나 라고 느끼는 
요즘입니다. 어릴때 부터 이런것에 신경쓰면 그 어떠한 것보다 큰 복이지 않을까싶네요!
 
우리 아이들과 청소년기 현 시점 성년기의 어른분들도 건강관리 유의하시고 멋진 하루 보내시면 좋겠습니다!
다음엔 더 재밌는 내용으로 오겠습니다! 안녕~~

728x90
반응형
LIST